체질량 지수인 BMI(Body Mass Index)로 겉보기 비만도를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BMI는 키와 체중을 사용해서 구하는 비만도로 지역과 성별, 나이별로 분류기준이 다릅니다.
키와 체중을 사용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근육량이 많은 운동선수, 임산부, 어린이 및 쇠약한 노인등의 경우는 이 수치를 그대로 적용 할 수 없고 해당 그룹의 평균을 따로 구해서 적용해야 합니다.
시기별로도 분류하는 기준값이 계속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가능한 최신 연구 결과를 확인 하는게 좋습니다.
BMI지수 = 몸무게(Kg) ÷ ( 키(m) × 키(m) )
◎ BMI지수 분류 기준
~ 18.5 : 저체중
18.6 ~ 23 : 정상
23.1 ~ 25 : 과체중
25.1 ~ 30 : 비만
30.1 ~ 35 : 고도비만
35.1 ~ : 초고도비만
위 분류 기준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분류기준이지만 정확한 분류는 나이와 기타 여러 요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게 되므로 대략 22정도가 가장 좋고 숫자가 커질수록 비만이라고 보면 됩니다.
△ 식품안전나라 BMI 계산기 페이지 입니다.
위에서 성별정보와 신체정보를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 페이지에서 2~19세까지의 표준성장도표도 제공합니다.
해당 연령이면 표준성장도표를 참고해서 비만 구간을 확인하면 됩니다.
http://general.kosso.or.kr/html/
△ 대한비만학회 홈페이지 입니다.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Diagnosis
△ 대한비만학회 - 비만의 진단과 평가 페이지 입니다.
◎BMI 분류 기준
♣세계보건기구
BMI ≥25 kg/m2 : 과체중
BMI ≥30 kg/m2 : 비만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과 대한비만학회
BMI ≥23 kg/m2 : 과체중
BMI ≥25 kg/m2 : 비만
BMI ≥30 kg/m2 : 고도비만
여기서는 BMI 외에 복부비만(허리둘레 측정)도 다루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BMI는 어디까지나 키와 몸무게 만을 사용해서 계산한 정확하지 않은 비만도 입니다.
대략 비슷하지만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비만에 관련된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병원을 가는게 좋습니다.
'정보 > 건강,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8.06. 판매중지 발사르탄 고혈압약 추가 리스트 (4) | 2018.08.06 |
---|---|
발암물질(발사르탄) 들어간 고혈압약 리스트 및 고혈압약을 복용중인 환자의 대처법 (0) | 2018.07.10 |
의약품 정보 검색 (약 검색) (0) | 2018.07.02 |
질병코드 검색하기 (0) | 2018.07.01 |
제3기(2018~2020) 상급종합병원 목록 (주소, 대표번호, 홈페이지) (0) | 2018.05.07 |
우리동네 혈관외과의사 찾기 (0) | 2018.05.04 |
병원 수술별 진료비와 비급여 진료비 조회하기 (0) | 2018.04.24 |
지역별 일반 의약품비 조회하기 (0) |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