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로 만든 hwp 파일을 무료로 수정할 수 있는 공공서식 한글 소개입니다.
우리나라 관공서에서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만든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hwp 형식의 문서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hwp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한글 뷰어로는 편집이 불가능하고 보는 것과 인쇄만 가능하기 때문에 유료인 정식 한글 프로그램을 구매해야 합니다.
관공서에서 제공하는 hwp 문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글 프로그램을 구매하지 않으면 hwp 파일에서 수정이 안되기 때문에 종이에 문서를 출력하고 내용을 입력한 후 다시 스캔을하는 번거로운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줄이고자 정식 한글 프로그램을 구매하지 않아도 공공 서식을 수정하는 목적으로 hwp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공공서식 한글" 프로그램을 행정안전부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공공서식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무료로 hwp 파일을 수정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단, 공공 서식을 편집하는 목적으로만 무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면 사용권 계약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공공 서식을 수정하기 위한 비상업적 목적의 개인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공공 서식은 관공서에서 민원인에게 제공되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 알립니다 - '공공서식 한글' SW 무료 배포 안내 2019.08.30
공공서식 한글은 행정안전부와 한글과 컴퓨터가 협약을 맺고 개발한 공공서식용 .hwp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https://www.malangmalang.com/pubhwp
△ 말랑말랑플랫폼 - 공공서식 한글 배포 페이지
위 페이지에서 "공공서식 한글 다운로드"를 클릭해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 공공서식 한글 설치 과정
다운로드 받은 PublicHwpEditorInstall.exe 파일을 실행하면 설치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사용권 계약 화면입니다.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설치 중에도 공공서식 한글은 비상업적인 목적으로 개인만 사용 가능하며 사용 목적은 공공기관 서식 작성용으로 한정이 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설치 경로를 변경하거나 바로가기 등록에 관한 설정없이 바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참고로 32비트 프로그램 폴더(C:\Program Files (x86)\)에 설치가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종료를 클릭합니다.
바탕화면에 바로 가기 아이콘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위 바로 가기를 사용해서 실행을 합니다.
공공서식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무조건 불러오기가 실행됩니다.
hwp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공공서식 한글로 hwp 문서를 연 스샷입니다.
가장 위에 "공공서식 한글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라는 문구가 표시됩니다.
공공서식 한글에서 편집하고 저장한 모든 문서는 위에 "공공서식 한글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라는 문구가 붙어서 저장이 됩니다.
공공서식 한글은 hwp로 만들어진 공공서식을 수정하기 위해서 무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간단한 편집 기능은 있지만 새로 만드는 기능은 없습니다.
일반 HWP 파일을 열고 수정을 할 수는 있지만 공공서식을 수정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일반 hwp 파일을 수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면 라이선스 위반으로 불법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에 "라이선스_전문.txt" 텍스트 파일이 있으니 확인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트렌드 - 2019년 대한민국 인기 검색어 순위 (0) | 2019.12.17 |
---|---|
세계 도시들의 대기 상태와 오염 순위 확인하기 (0) | 2019.12.12 |
2019년 딤채 김치냉장고 무상 클린(점검) 서비스 신청하기 (0) | 2019.11.16 |
2019 전국민 대상 1등급 가전제품 구매비용 10% 환급 사업 정리 (0) | 2019.11.01 |
우리나라 전국 8도 이름의 유래 (도 줄임말) (0) | 2019.10.14 |
태풍 발생 시 행동요령 - 국민재난 안전 포털 (0) | 2019.10.10 |
2019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10% 환급사업 정리 (0) | 2019.10.02 |
지역사랑 상품권 소개와 발행 현황 확인하기 (0) | 2019.09.05 |